휴면 보험금 vs 숨은 예금 vs 국세 환급금|2025년 숨은 돈 찾는 법 총정리
혹시 여러분도 잊고 있었던 숨은 돈이 있을지도 모릅니다. 보험을 해지했거나 은행계좌를 방치했거나, 혹은 세금 환급금을 깜빡했을 수도 있죠.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숨은 돈 3종(휴면 보험금, 숨은 예금, 국세 환급금)에 대해 비교하고, 각 항목별 조회 및 돌려받는 방법까지 총정리해드릴게요.
📌 숨은 돈 3종 비교
항목 | 주요 내용 | 조회 방법 | 환급 시효 | 조회 앱 |
---|---|---|---|---|
휴면 보험금 | 보험 계약 만료 후 찾아가지 않은 금액 | 내보험찾아줌 | 10년 이내 | 내보험찾아줌 앱 |
숨은 예금 | 장기간 거래 없는 은행 예금 |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| 5년 이내 | 토스, 뱅크샐러드 등 |
국세 환급금 | 근로·자녀장려금, 연말정산 등에서 미수령된 세금 | 손택스·홈택스 또는 ARS(126) | 5년 이내 | 손택스, 국세청 앱 |
1. 휴면 보험금 찾는 법
보험사에서 지급했어야 할 돈을 받지 못한 경우입니다. 실손보험, 종신보험, 암보험 등 다양한 보험상품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.
- 내보험찾아줌 홈페이지 또는 앱 접속
- 공동인증서 또는 휴대폰 인증
- 숨은 보험금 조회 후 지급 신청
2. 숨은 예금 찾는 법
예전 통장에 몇 만 원, 몇 십만 원이 남아 있을 수도 있습니다. 간단한 인증으로 모든 금융기관의 잔액을 확인해보세요.
- 페이인포(Payinfo) 접속
- 계좌 통합조회 메뉴 선택
- 조회 후 잔액이 있는 계좌 확인 → 해지 및 이체 가능
3. 국세 환급금 찾는 법
근로장려금, 자녀장려금, 종합소득세 환급 등 세금 환급금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.
- 손택스 앱 접속 →
환급금 조회
- 홈택스 웹사이트에서 환급금 조회
- ARS(126)에서 본인인증 후 확인
추천 앱 총정리
- 내보험찾아줌
- 페이인포, 토스, 뱅크샐러드, 머니허브
- 손택스, 국세청 앱